2023. 3. 9. 11:34ㆍ부트캠프/DevOps (TIL)
먼저 리눅스는 리누스 토발즈가 만든 오픈 소스 운영체제입니다.
1991년 대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발즈가 취미로 만들었다고 알려진 리눅스는 현재 가장 큰 사용자 기반을 가지고 있고,
공용 인터넷 서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상위 500대 초고속 슈퍼컴퓨터에서 유일하게 사용되는 운영체제입니다.
즉, 사양이 낮은 컴퓨터에서도 우수한 성능과 기량을 발휘 할 수 있고,
뛰어난 성능이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운영체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오픈소스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누구나 소프트웨어를 실행, 연구, 공유,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한 코드를 재배포하거나 판매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종류에 따라 장단점 역시 뚜렷합니다.
이런 Linux의 종류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Debain(데비안)
데비안은 어떤 기업이나 영리단체에 의해 만들어진 리눅스가 아닙니다.
데비안 프로젝트로 만들어진 운영체제로 전 세계의 천 명 이상의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데비안을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데비안은 초창기 리눅스 배포판에 속하고, 별도의 패키지 관리도구(apt, dpkg)를 이용해
패키지 업데이트나 의존성 및 보안 관련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합니다.
패키지 관리가 편리하기 떄문에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리룩스 배포판 중 하나입니다.
Ubuntu(우분투)
우분투는 데비안 리눅스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초보자들도 설치와 사용이 쉬우며, 많은 정보가 웹에 공개되어 있어
리눅스 입문용으로 공부하는데 적합한 운영체제입니다.
6개월 단위로 새 버전을 발표하며, 2년 주기로 LTS(Long Term Support :5년 간 기술지원 제공) 버전을 발표합니다.
그 뿐만이 아니라, 데이안으로부터 이어 받은 apt을 이용한 패키지 관리 기법과 웹서버, 개인용 서버, 클라우드 컴퓨팅,
엔터프라이즈 서버 등 다양한 형태를 지원하고 있어 강력한 배포판 중 하나입니다.
RedHat(레드헷)
레드헷은 유료임에도 높은 국내시장 점유율로 운영자들이 기업용 서버OS로 가장 선호하는 리눅스입니다.
레드헷 리눅스는 GUI를 제공하면서 초보자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데비안과 우분투가 apt라는 패키지 관리도구를 썼다면,
레드햇은 rpm과 yum을 통해 보다 쉬운 설치 및 관리를 도와줍니다.
레드헷은 안정성 때문에 신기술/신기능 적용을 보수적으로 적용합니다. 대신 레드햇이 후원하고 있는 페도라리눅스를
통해서 새로운 기술이나 기능을 먼저 선보이고, 어느 정도 안정화되고 나면 이러한 기술/기능을
기업용 배포본인 Red Hat Enterprise Linux로 포함시켜 발표합니다.
CentOS(센트OS)
레드햇이 상용화되면서 무료 버전인 센트OS가 탄생하게됩니다. 따라서 센트OS의 장점은 안정적인 레드햇의 기술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앞서 이야기 했떤것처럼 리눅스는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레드햇의 소스를
이용해 만들어지고, 상표권만을 배제한 리눅스가 센트OS입니다. 하지만 레드햇의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문제가 생겼을 경우 커뮤니티 단위의 지원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이와같이 Linux 종류로는 다양하게 있으며 위에 소개한 종류 말고도 다양한 Linux가 존재합니다.
03_Study(Linux_기본적인 명령어_02) (0) | 2023.03.09 |
---|---|
03_Study(Linux_기본적인 명령어_01) (2) | 2023.03.09 |
03_Study(CLI vs GUI) (0) | 2023.03.09 |
03_Study(왜 Linux인가?) (0) | 2023.03.09 |
02_Study(모니터링과 메트릭)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