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9. 09:30ㆍ부트캠프/DevOps (TIL)
왜 리눅스인가에 앞서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컴퓨터에는 종류에 따라 운영체제라 불리우는 소프트웨어가 깔려있다.
이를 바탕으로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된다 물론 각 응용 프로그램들은 해당 운영체제 호완이 되어야 한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운영체제는 어떤것이 있을까?
모바일 기기용 운영체제
iOS / iPadOS
Android
데스크탑용 운영체제
macOS
Windows
모바일 기기용 운영체제, 데스크탑용 운영체제는 일반적으로 모바일이나 데스크탑을 사용할 때 사용한다.
그렇다면 개발자들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버용 운영체제는 무엇이 있을까?
물론 mac과 window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서비스 운영에 가장많이 사용되는 운영체제는 당연 Linux이다.
그렇다면 왜 Linux일까?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있다.
오픈 소스는 대부분 별도의 비용 없이 제품을 사용할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다. 어떤 벤더(vendor)에 종속적일 필요도 없다. 일반적으로 오픈 소스라고 하면 보안에 취약할 것이라고 오해하지만, 오히려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취약점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전세계의 리눅스 개발자 커뮤니티의 힘에서 비롯된다. 실제로 리눅스는 바이러스나 멀웨어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최초 부팅 후 시스템이 계속 켜져 있는 시간, 즉 업타임(uptime)이 기타 운영체제보다 월등히 길다. 윈도우 등의 운영체제의 경우, 보안 패치를 적용하고 시스템의 재부팅을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하나, 리눅스는 시스템을 재부팅해야 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따라서, 높은 가용성을 요구하는 서비스의 경우 리눅스가 적합하다.
어떤 하드웨어서도 리눅스는 실행 가능하다. x86 및 arm 아키텍처 외에도 다양한 아키텍처를 지원하며,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IoT 디바이스부터 슈퍼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리눅스를 사용한다. 전 세계의 상위 500대의 슈퍼컴퓨터는 전부 리눅스를 사용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리눅스 사용법 및 관리 지식은 DevOps 및 클라우드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소양이다. 결국 서비스를 작동하는 운영체제가 리눅스이기 때문이다.
03_Study(Linux의 종류) (0) | 2023.03.09 |
---|---|
03_Study(CLI vs GUI) (0) | 2023.03.09 |
02_Study(모니터링과 메트릭) (0) | 2023.03.08 |
02_Study(프로비저닝) (0) | 2023.03.08 |
02_Study(자동화 & IT 자동화)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