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 23. 00:00ㆍ부트캠프/Final
1. 팀: 1팀 the first
2. 금일 주요 업무 :
- CI/CD 작업
- 람다 서버리스
- 중간점검 미팅
3. 쉬는 시간
- 보고 후 자율
오늘 일자까지 구현한 것
1. 프론트 구현, cognito을 이용한 회원가입 및 토큰 발급 기능
2. 백엔드 REST API 구현 로컬에서 테스트 성공, 퍼블릭 서브넷 안의 task에서 실행 확인
진행 해야할 것
1. lambda 부분 구현 중 time out 발생 현상 ㅡ> sls l q l template 로 짜로 코드 수정
2. 모니터링 서버 구현 진행 중
3. 도메인 연결
4. RDS subnet 변경하기 위해 다시 만들어야 함
질문할 것
sqs timeout 뜨는 현상
ecs private subnet에 위치 할 때 고려해야할 포인트
해결한 것
1. RDS subnet 변경하기 위해 다시 만들어야 함
Private subnet으로 변경 ㅡ> ssh 터널링으로 연결!
ssh 터널링 하기위해 EC2 제일 작은 유형으로 생성
1. SSH Hostname : ec2 public IP
2. SSH Username : 생성한 instance 유형에 따라 다름
3. SSH Password : 인스턴스 생성할 때 ssh 키 페어를 생성하면 키페어 파일로 인증가능
4. MySQL Hostname : 접속할 RDS의 엔드포인
5. MySQL Servre Port : 보통 3306(사용자지정에 따라 다름)
6. MySQL Username : RDS 생성할 때 설정한 ID 일반적으로 root 많이 사용
참고 래퍼런스
https://repost.aws/ko/knowledge-center/rds-mysql-ssh-workbench-connect-ec2
퍼블릭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프라이빗 Amazon RDS MySQL DB 인스턴스에 연결
프라이빗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Amazon RDS) MySQL DB 인스턴스와 퍼블릭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 인스턴스를 사용 중인데, SSH 터널과 MySQL Workbench를 사용하여 해당 인스턴스에 연결하려고
repost.aws
2. ecs public에서 private subnet로 변경 시 고려해야 할 것들
natgateway와 vpc 엔드포인트로 해결 접속까지 확인
2023.06.12(프로젝트 시작) (0) | 2023.06.27 |
---|---|
2023.06.26 (0) | 2023.06.26 |
2023.06.21 (0) | 2023.06.21 |
2023.06.20 (0) | 2023.06.21 |
2023.06.19 (1) | 2023.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