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_04_김재환
2023. 4. 20. 06:05ㆍ부트캠프/DevOps (TIL)
먼저 목표는 MySQL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사용하는 DB 인스턴스를 생성한 뒤, 앞서 생성한 EC2 인스턴스 환경에서 MySQL 클라이언트를 활용하여 DB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것입니다.
먼저 AWS 메인 콘솔 창에서 RDS를 검색하여 RDS 메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사이드 바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 메뉴를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데이터베이스 메뉴로 이동한 뒤, 화면에 보이는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엔진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MySQL을 사용하여 진행할 것이기에 MySQL 을 선택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MySQL로 선택하고 페이지의 스크롤을 살짝 아래로 내리시면 템플릿 옵션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프리 티어 옵션을 선택합니다.
설정 옵션 창으로 이동하여 DB 클러스터 식별자 이름, 마스터 사용자 이름과 마스터 암호를 기재합니다. 마스터 사용자 이름과 암호는 나중에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할 때 쓰이는 정보입니다. 반드시 기억해 주세요.
연결 옵션으로 이동하셔서 퍼블릭 액세스 가능 부분을 '예'로 설정합니다.
보안 그룹 같은 경우는 기본값인 'default' 보안 그룹을 선택합니다. 다른 보안 그룹을 선택 시 로컬 환경 터미널에서 테스트가 불가능합니다. '추가 연결 구성' 토글을 여시면 데이터베이스 포트 번호를 지정할 수 있는 창이 보이실 겁니다. 여기서는 흔히 사용되는 3306번 포트 대신, 포트 번호 노출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13306번으로 지정합니다. 하지만 저는 3306으로 지정했습니다.
포트 번호 변경이 완료된 뒤, 페이지의 스크롤을 아래로 내립니다. '추가 구성' 토글 창을 찾아 클릭합니다. 추가 구성 토글을 열면 여러 옵션을 추가로 확인 가능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초기 데이터베이스 'test'라는 이름으로 설정합니다. 서버 코드가 'test' 데이터베이스를 찾도록 작성되어 있으니, 다른 이름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초기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기입하고 나면 모든 설정이 끝납니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DB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DB 인스턴스가 생성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에 여기서 잠시 기다려주셔야 합니다. 위의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상태' 부분이 현재 '생성 중'으로 보인다면 잠시 대기합니다.
이 부분이 '사용 가능'으로 변화하면 DB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됩니다
연결 & 보안 메뉴 부분을 보시면 엔드 포인트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엔드 포인트 주소를 복사하여 저장합니다
ec2에 접근해 git을 이용하여 server폴더를 clone 하고 .env.example 파일을 수정하고 이름도 .env로 변경합니다. 앞서 복사해놓은 앤드포인트 주소를 DATABASE_HOST에 넣어주고 RDS 생성할 때 설정한 마스터 이름과 패스워드 포트도 설정해줍니다.
이후 npm install을 후 npm run start로 서버 킨다음 접속한 다음 아이디와 비번을 넣어주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25_Study(지속적 통합 - CI/CD 리뷰) (0) | 2023.04.20 |
---|---|
24_Study(ELB, CloudFront, Route53) (0) | 2023.04.20 |
23_ Study( 3 Tier Architecture S3 버킷 생성 및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정책 설정 ) (0) | 2023.04.20 |
23_Study( 3 Tier Architecture 보안그룹 ) (0) | 2023.04.19 |
23_Study( 3 Tier Architecture EC2 instance Create/Connect ) (0)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