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사진
DevOps 부트캠프 기록일지
DevOps_04_김재환
10_리눅스에서 ifconfig 명령의 결과를 먼저 살펴보세요. 결과 중 lo0와 en의 차이가 뭘까요? ifconfig에서 ether, inet6, inet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10_리눅스에서 ifconfig 명령의 결과를 먼저 살펴보세요. 결과 중 lo0와 en의 차이가 뭘까요? ifconfig에서 ether, inet6, inet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2023. 4. 7. 13:51부트캠프/DevOps 과제

ifconfig 명령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제가 사용하는 터미널에서 ifconfig을 입력해봤고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lo(lo0은 masos에서 사용)

 

"lo"는 루프백 인터페이스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flags=73"은 이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나타내는 플래그 값을 표시합니다.

여기서 "up"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LOOPBACK"은 루프백 인터페이스임을 나타냅니다. "RUNNING"은 인터페이스가 현재 실행 중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mtu 65536"은 이 인터페이스의 최대 전송 유닛(Maximum Transmission Unit, MTU) 크기가 65536임을 나타냅니다. MTU는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루프백 인터페이스는 MTU가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en("p0s3"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의 식별자입니다)

 

"enp0s3"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flags=4163"은 이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나타내는 플래그 값을 표시합니다.

여기서 "UP"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BROADCAST"는 이 인터페이스가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UNNING"은 인터페이스가 현재 실행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며, "MULTICAST"는 이 인터페이스가 멀티캐스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mtu 1500"은 이 인터페이스의 최대 전송 유닛(Maximum Transmission Unit, MTU) 크기가 1500임을 나타냅니다. MTU는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MTU가 1500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값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습니다.

 

  • ether: 이더넷 주소, 즉 MAC 주소를 나타냅니다. 이 값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고유 식별자입니다.
  • inet6: IPv6 주소를 나타냅니다.
  • inet: IPv4 주소를 나타냅니다.
  • txqueuelen: 인터페이스의 출력 큐 길이를 나타냅니다. 출력 큐란,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가 버퍼링되는 장소로써, 큐의 길이가 크면 데이터 전송이 늦어질 가능성이 적어지지만,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RX: "Receive"의 약자이며, 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수신한 패킷의 수를 나타냅니다. 이 값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수신했는지를 보여줍니다.
  • TX: "TX"는 "Transmit"의 약자이며, 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전송한 패킷의 수를 나타냅니다. 이 값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전송했는지를 보여줍니다.

 

참고

https://minddoodle.tistory.com/entry/%EB%A6%AC%EB%88%85%EC%8A%A4Linux-%EB%84%A4%ED%8A%B8%EC%9B%8C%ED%81%AC-%EC%9D%B8%ED%84%B0%ED%8E%98%EC%9D%B4%EC%8A%A4-%EC%84%A4%EC%A0%95-ifconfig-%EB%AA%85%EB%A0%B9%EC%96%B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