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_04_김재환
2023. 3. 20. 18:27ㆍ부트캠프/DevOps (TIL)
사용자 정보
Git을 설치하면 가장 먼저,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설정합니다. 설정에 기록된 사용자 이름과 메일 주소를 앞으로 진행할 Git 커밋 내역에 기록합니다.
터미널 화면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세요. (나의 사용자 이름과 내 이메일 주소를 대신해 Github에 등록된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세요.)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나의 사용자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 이메일 주소"
예를 들어 김코딩의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입력할 수 있겠죠.
$ git config --global user.name "kimcoding"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kimcoding@example.com"
에디터
Git에서 커밋 메시지를 기록할 때, 특히 merge commit 확인 메시지가 나올 때 텍스트 에디터가 열립니다. 기본값으로 텍스트 에디터 vi가 열리는데, vi 에 익숙하지 않다면, nano로 변경하는 편이 좋습니다.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nano
상황에 따라 Github의 기능과 Git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새로운 저장소 생성> | $ git init | .git 하위 디렉토리 생성 (폴더를 만든 후, 그 안에서 명령 실행 => 새로운 git저장소 생성) |
<저장소 복제/다운로드(clone)> | $ git clone <https:.. URL> | 기존 소스 코드 다운로드/복제 |
$ git clone /로컬/저장소/경로 | 로컬 저장소 복제 | |
$ git clone 사용자명@호스트:/원격/저장소/경로 | 원격 서버 저장소 복제 | |
<추가 및 확정(commit)> | $ git add <파일명> $ git add * |
커밋에 단일 파일의 변경 사항을 포함 (인덱스에 추가된 상태) |
$ git add -A | 커밋에 파일의 변경 사항을 한번에 모두 포함 | |
$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 커밋 생성 (실제 변경사항 확정) |
|
$ git status | 파일 상태 확인 | |
<가지(branch)치기 작업> | $ git branch | 브랜치 목록 |
$ git branch <브랜치이름> | 새 브랜치 생성 (local로 만듦) | |
$ git checkout -b <브랜치이름> | 브랜치 생성 & 이동 | |
$ git checkout master | master branch로 되돌아 옴 | |
$ git branch -d <브랜치이름> | 브랜치 삭제 | |
$ git push origin <브랜치이름> | 만든 브랜치를 원격 서버에 전송 | |
$ git push -u < remote > <브랜치이름> | 새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로 push | |
$ git pull < remote > <브랜치이름> | 원격에 저장된 git 프로젝트의 현재 상태를 다운받고 + 현재 위치한 브랜치로 병합 | |
<변경 사항 발행(push)> | $ git push origin master | 변경사항 원격 서버에 업로드 |
$ git push < remote > <브랜치이름> | 커밋을 원격 서버에 업로드 | |
$ git push -u < remote > <브랜치이름> | 커밋을 원격 서버에 업로드 | |
$ git remote add origin <등록된 원격 서버 주소> | 클라우드 주소 등록 및 발행 (git에게 새로운 원격 서버 주소 알림) |
|
$ git remote remove <등록된 클라우드 주소> | 클라우드 주소 삭제 | |
<갱신 및 병합(merge)> | $ git pull | 원격 저장소의 변경 내용이 현재 디렉토리에 가져와지고(fetch) 병합(merge)됨 |
$ git merge <다른 브랜치이름> | 현재 브랜치에 다른 브랜치의 수정사항 병합 | |
$ git add <파일명> | 각 파일을 병합할 수 있음 | |
$ git diff <브랜치이름><다른 브랜치이름> | 변경 내용 merge 전에 바뀐 내용을 비교할 수 있음 | |
<태그tag 작업> | $ git log | 현재 위치한 브랜치 커밋 내용 확인 및 식별자 부여됨 |
<로컬 변경사항 return 작업> | $ git checkout -- <파일명> | 로컬의 변경 사항을 변경 전으로 되돌림 |
$ git fetch origin | 원격에 저장된 git프로젝트의 현 상태를 다운로드 |
11_Study(쿠키) (0) | 2023.03.22 |
---|---|
10_Study(Branch) (0) | 2023.03.21 |
08_Study(HTTP Messages) (0) | 2023.03.16 |
06_HTTP 응답 코드의 200, 300, 400, 500번대의 특징과 차이점을 설명하세요. (0) | 2023.03.16 |
07_Study(DNS)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