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15. 20:16ㆍ부트캠프/DevOps (TIL)
위의 영어 단어의 뜻으로 보자면 URI = "일정한 규칙을 따르는 자료 식별자"라고 할 수 있겠네요. Identifier의 경우에는 우리가 흔히 아는 ID의 약자이기도 합니다. 즉, 식별할 수 있는 유일한 이름입니다.
여기서 유일하다는 속성이 중요합니다. URI는 특정한 자료에 대한 유일한 식별자여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URI를 입력하면 동시에 2개의 페이지가 뜨는 경우는 없습니다. 단 하나의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그리고 Uniform이란 단어로 봤을 때 어떠한 규칙을 따르고 있어야합니다. 이것은 인터넷 표준으로써 정해져 있습니다.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scheme:[//[user[:password]@]host[:port]][/path][?query][#fragment]
이렇게만 보면 굉장히 이해하기 어렵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 됩니다.
출처 : opentutorials.org
각각의 간략한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 https://velog.io/@jch9537/URI-URL
위의 그림처럼 URI는 URN과 URL을 포함합니다. 그림과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여기까지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URI는 규약이고 URL은 URI의 일부로 URI규약을 따르는 자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인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는 URL은 자료의 위치, URI는 자료의 식별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브라우저의 검색창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주소가 URI입니다. URI는 URL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입니다. 따라서, 'URL은 URI다.' 는 참이고, 'URI는 URL이다.' 는 거짓입니다.
07_Study(DNS) (0) | 2023.03.15 |
---|---|
07_Study(IP) (0) | 2023.03.15 |
07_Study(프로토콜, 클라이언트, 서버, API) (0) | 2023.03.15 |
07_Study(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0) | 2023.03.15 |
06_Study(시스템 모니터링(3)_lsof, netstat) (2)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