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15. 15:21ㆍ부트캠프/DevOps 과제
nslookup 은 name server 관련한 조회를 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서버의 네트워크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도 사용합니다.
터미널에서 nslookup 명령을 실행 했을 때 나오는 결과값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ip조회
nslookup 명령어 뒤에 조회하려는 도메인 주소를 정해야하는데 일반적인 google.com으로 지정하겠습니다.
MX(Mail Record) 확인
smtp.google.com internet address = 64.233.189.26: smtp.google.com의 IPv4 주소 총 6개의 다른 IPv5 주소가 출력됩니다.
smtp.google.com has AAAA address: smtp.google.com의 IPv6 주소입니다. 총 4개의 다른 IPv6 주소가 출력됩니다.
NS 레코드로 DNS 목록 확인
Authoritative answers 섹션에서는 google.com의 네임 서버의 IP 주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인터넷 상에서 권한있는 DNS 서버에서 직접 검색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이 출력은 google.com의 네임 서버 정보를 찾을 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CNAME
Canonical Name의 줄임말로 하나의 도메인에 다른 이름을 부여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도메인 이름의 또 다른 이름
CNAME 레코드를 조회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Can't find google.com: No answer"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는 Google의 도메인 이름 서버가 CNAME 레코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출처
chatGtpforGoogle
06_HTTP의 메소드와 CRUD(create/read/update/delete)를 적절하게 짝짓고, POST와 PUT의 차이점을 설명하세요. (0) | 2023.03.16 |
---|---|
05_검색창에 http://google.com 을 검색하면, DNS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이에 대한 설명을 작성하세요. (0) | 2023.03.15 |
05_public IP와 Private IP의 차이점을 설명하세요 (0) | 2023.03.15 |
04_파이프라인과 리다이렉션이 무엇인지 예시를 들어 설명하세요. (0) | 2023.03.10 |
04_표준스트림과 stdin, stdout, stderr이 무엇인가요? (0) | 202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