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사진
DevOps 부트캠프 기록일지
DevOps_04_김재환
06_Study(시스템 모니터링(2)_ifconfig)
06_Study(시스템 모니터링(2)_ifconfig)

2023. 3. 14. 20:08부트캠프/DevOps (TIL)

ifconfig : 네트워크 기본 모니터링

 

Linux, Unix, macOS 등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는 유틸리티입니다. ifconfig 명령어를 실행하면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장치의 상태, 데이터 전송량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ifconfig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몇 가지 예시를 들어보면:

  • -a: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합니다.
  • up/dow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
  • add/delete [IP 주소]: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합니다.

ifconfig를 사용하면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enp0s3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flags : 네트워크 카드의 상태 표시
  • mtu : 네트워크 최대 전송 단위(Maximum Transfer Unit)
  • inet : 네트워크에 할당된 IP 주소
  • netmask : 네트워크에 할당된 넷마스크 주소
  • broadcast : 네트워크에 할당된 브로드캐스트 주소
  • inet6 : 네트워크에 할당된 IPv6 주소
  • prefixlen : IP 주소에서 서브 넷 마스크로 사용될 비트 수
  • scopeid : IPv6의 범위. LOOPBACK / LINKLOCAL / SITELOCAL / COMPATv4 / GLOBAL
  • ether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주소
  • RX packets : 받은 패킷 정보
  • TX packets : 보낸 패킷 정보
  • collision : 충돌된 패킷 수
  • Interrup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사용하는 인터럽트 번호

실제로 제 터미널에서 사용했을 때 출력된 값

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확인하고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관련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버전의 Linux 배포판에서는 ifconfig 대신 ip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유는 ifconfig는 구식 구형 명령어이며, ip 명령어가 더 많은 기능과 더 간결한 명령어 구문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Ifconf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