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10. 09:40ㆍ부트캠프/DevOps (TIL)
파이프라인
데이터 처리 단계의 출력이 다음 단계의 입력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연결된 구조를 가리킨다. 이렇게 연결된 데이터 처리 단계는 한 여러 단계가 서로 동시에,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효율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각 단계 사이의 입출력을 중계하기 위해 버퍼가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파이프라인 구조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이중에서 linux에 사용할 파이프 용어의 정의는 소프트웨어 파이프라인인 것 같습니다.
파이프는 프로세스1의 출력 스트림을 프로세스2의 입력 스트림으로 사용할 때 파이프 기호 | 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합니다.
$ process1 | process2
예를 들어 터미널에서 '/bin'으로 이동하여 'ls -l'을 작성하면 많은 파일이 나타납니다. 이 중에서 ssh라는 문자열을 포함한 것들만 확인 하려고 합니다.
다시 말해, ls -l 명령으로 표준 출력을 하고, 출력 된 내용을 ssh 이라는 인자를 전달 받는 grep 명령에 표준 입력으로 전달시키는 파이프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 ls -l | grep ssh
이와 같이 프로세스 간 입/출력을 연결 하고 싶으면 파이프 |를 이용합니다.
이처럼 입/출력을 연결하여 자료를 간편화 등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꼭 알아둬야 합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D%B4%ED%94%84_(%EC%9C%A0%EB%8B%89%EC%8A%A4)
04_(접근제어의 기본_사용자와 관리자) (0) | 2023.03.10 |
---|---|
04_Study(관리자로서의 리눅스_시스템 관리자가 하는 일) (0) | 2023.03.10 |
04_Study(표준 스트림과 stdin, stdout, stderr) (0) | 2023.03.10 |
04_Study(리다이렉션) (0) | 2023.03.09 |
03_Study(패키지와 패키지 매니저)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