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9. 16:12ㆍ부트캠프/DevOps 과제
리눅스는 유닉스 계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오픈소스 운영체제이다.
그래서 유닉스와 마찬가지로 모든 것들을 파일로 관리한다.
디렉토리도 파일의 한 종류로서 여러개의 하위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주소들을 담고 있다.
이러한 디렉토리들을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계층적으로 구성하는데 이것을 트리구조라고 한다.
리눅스에서는 수많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이러한 디렉토리 개념을 사용한다.
모든 디렉토리의 최상위 디렉토리를 루트 디렉토리라고 한다. 루트 디렉토리는 / 으로 표시한다.
주요 디렉토리의 기능
/(루트) : 최상위(루트) 디렉토리,디렉토리들의 절대 경로를 표기할 때 이 디렉토리로 부터 시작함
/bin(바이너리) : 이진파일(실행파일),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mv, cp, rm등과 같은 명령어들이 이 디렉토리에 존재함)
/boot(부트) : 리눅스의 부팅에 필요한 정보를 가진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
/dev(디바이스) : 시스템 디바이스(장치)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물리적 장치가 파일화되어 저장(/dev/sda (하드디스크 장치파일), /dev/cdrom(CD-ROM)장치파일 등과 같은 장치 파일들이 여기에 위치해있다. 예를들어 마우스, 키보드등의 디바이스와 관련된 파일들.)
/etc : 설정 파일을 두는 디렉토리
/home(홈) : 사용자들의 홈디렉토리가 있는 곳, 사용자를 추가하면 사용자의 id와 동일한 디렉토리가 이곳에 자동으로 생성
/lib(라이브러리) : 커널이 필요로 하는 각종 라이브러리 파일, 커널 모듈파일 등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media(미디어) : DVD, CD-ROM, USB 등의 외부 장치들의 마운트 포인트(연결)로 사용하는 디렉토리
/mnt(마운트) : /media와 비슷한 기능, Mnt는 사용자가 직접 마운트하는 경로로 사용된다.
/opt(옵트) : 추가 응용프로그램 패키지 설치 장소, 패키지 매니저가 자체적으로 설치/삭제를 수행함
/proc(프로세스) : '가상파일시스템' 이라고 하는 곳으로 현재 메모리에 존재하는 작업들이 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곳, 프로세스 정보 등 커널 관련 정보가 저장
/root(루트) : 관리자계정 root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 디렉토리와 다르다. 이건 사용자의 디렉토리)
/sbin(시스템 바이너리) : 시스템 이진파일(실행파일), ifconfig, ethtool, halt, e2fsck와 같은 시스템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usr(유저) :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디렉토리
/var(바) : 기타 모든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파일들이 저장되며 로그파일, 데이터베이스 캐싱파일, 웹서버 이미지 파일 등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sys(시스템) :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가상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이다.
/run(런) : Run-time variable data를 관리한다. 부팅한 후의 시스템 정보를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tmp(템프) : 임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디렉토리이다, 재부팅 시에 삭제되며, 정기적으로 10일 정도 간격으로 삭제된다.
/lost+found(로스트) : 휴지통 같은 개념이라 보면된다.
04_파이프라인과 리다이렉션이 무엇인지 예시를 들어 설명하세요. (0) | 2023.03.10 |
---|---|
04_표준스트림과 stdin, stdout, stderr이 무엇인가요? (0) | 2023.03.10 |
03_CLI로 ‘test’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sample.txt’를 생성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명령이 필요한지 적고, 설명하세요. (0) | 2023.03.09 |
02_DevOps를 실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술이 필요한 부분과, 기술이 아닌 문화로 풀어야 할 부분은 각각 무엇인가요? CI/CD 파이프라인에 근거해 답해봅시다. (0) | 2023.03.08 |
02_ (Dev팀과 Ops팀) 각 팀의 목표는 어떻게 다른가요? 두 팀의 목표에서 상충되는 부분이 존재하나요?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