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사진
DevOps 부트캠프 기록일지
DevOps_04_김재환
2023.05.18(쿠버네티스 설치)
2023.05.18(쿠버네티스 설치)

2023. 5. 18. 19:42부트캠프/DevOps (TIL)

쿠버네티스를 로컬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서는 minikube로 시작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minikube는 쿠버네티스 로컬 클러스터 환경입니다. 도커와 같은 컨테이너 런타임이 준비되어 있다면, 간단한 명령을 통해 해당 런타임에 적합한 쿠버네티스를 설치하고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minikube 설치

공식문서

 

minikube start

minikube is local Kubernetes

minikube.sigs.k8s.io

minikube를 설치하십시오. 각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하면 됩니다.

 

minikube 시작하기

도커와 같은 가상화 도구가 실행된 상태에서 minikube start 명령을 통해 쿠버네티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도커 데스크탑이 깔려있다면 꼭 실행한 상태에서 명령을 입력해야 합니다.

 

 

잘 작동되는지 확인하려면, kubectl get pods -A 명령을 실행해 봅시다. 모든 네임스페이스(-A 옵션) 존재하는 모든 파드를 조회하는 명령어입니다. 다음 결과를 통해 앞서 배운 쿠버네티스 작동 원리에서 다뤘던 제어판(Control Plane)의 구성요소가 파드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ction Items

다음 Hands On을 따라서 해봅시다.

1. minikube를 이용해서 클러스터를 생성합니다

minikube start

2. cozserver라는 이미지를 사용해 배포 가능한 리소스(디플로이먼트, deployment)를 생성합니다.

kubectl create deployment hello-minikube --image=sebcontents/cozserver:1.0

3. 서비스(service)로 노출합니다.

kubectl expose deployment hello-minikube --type=NodePort --port=8080

4. 로컬 클러스터를 호스트 컴퓨터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 포워딩을 합니다.

kubectl port-forward service/hello-minikube 3333:8080

5. 브라우저를 열어서 http://localhost:3333 으로 접속합니다.

위 일련의 과정을 따라 해보면서 Cozserver라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켰습니다. 이 과정은 결국 이미지를 바탕으로, 디플로이먼트라는 단위를 통해 배포하고, 서비스를 이용해 노출시키는 기본적인 작업을 진행한 것입니다. 지금은 명령어의 세부 사항들을 완벽하게 이해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어떤 명령어가 무슨 일을 하고 있는 것인지는 파악해 놓으면, 뒤에서 더욱 수월하게 각 개념들을 배울 수 있습니다.